본문 바로가기

정보& 플래시☆/★ 인터넷 정보

노래를 파일로 올리지 않고 태그로 올리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 아래 올리는 글은 어디서 퍼온것이 아니라 내가 그동안 작업을 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내 자신 스스로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을 한것이니

혹시나 잘못알고 글을 올린 부분이 있더라도 이해해 주시고 정정을 하라고

알려주시면 더없이 감사하겠습니다

 

※ 우선 이글은 복사를 할줄 알고 

    복사를 해서 붙여넣기 정도는 할수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글을 올렸습니다

 

우리가 컴퓨터를 알기전에는 편지지(종이)에 직접 글을 써서 표현을 했습니다

즉 이것을 텍스트(Text) 라고 하는데(하나뿐이기에 구분이 없었습니다) 

컴퓨터에서는 편지지가 3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1.텍스트     2.소스(html)     3.에디터...

여기서 특이한것은 html이라는 편지지인데

이 html 이라는 편지지에 테그(Tag)라는 소스로 글을 써서 올리면

소스는 보이지 않고 움직이는 상태나 음악 그림을 볼수가 있습니다

즉 명령어로 명령을 하면 그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편지지라고 생각할수가 있습니다

(이부분이 컴을 배우지 않은 사람들이 이해를 하기가 힘든 부분입니다)

 

그리고 에디터라는 편지지가 있는데 이것은 텍스트와 html을 합쳐서

만든 편지지라고 할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다음카페에서 3가지의 편지지를 다 사용을 했으나

텍스트는 컴에서는 별 필요가 없고 에디터에서 충분히 사용할수가 있으므로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편지지입니다

그래서 Html 이나 에디터 두가지만 사용을 합니다

(편지지 우측 상단에 □HTML 이라는 글이 있는데 사각형안에 책킹을 하냐 안하냐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 

그럼 각설하고 이제 시작을 해보겠습니다^^*

노래를 파일로 올리지 않고  테그로 올리면

 

1) 노래의 소리도 반주기에서 가장 큰 상태로 들을수 있게 할 수 있고..

2) 반복재생이 가능하고

3) 반주기가 보이지 않게 할수도 있습니다

   즉 동영상, 사진, 이미지, 하고 같이 올리며 반주기가 보이지 않게 해서

   영상이나 사진에서 노래가 나오는것 같은 착각 형상을 생기게 하는 것입니다.

   즉 파일로 올리면 위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하기전에 꼭 이해를 해야할 중요한 상식이 있습니다

 

인터넷상에 노래 영상 사진등을 올리면 자동으로 인터넷주소가 생기게 됩니다.

즉 인터넷 주소가 없이는 인터넷에서 노래 사진 영상 형체가 보일수가 없습니다.

모든것이 주소가 있기에

주소를 링크(연결)를 하는것이 사진이나 노래 영상으로 볼수 있는 형태가 되는것입니다.

 

사진 올리는 방법

<img src=사진주소>

위의 태그 소스를 해석을 하자면

< > ←꺽인 가로열기의 < 이부분은 테그의 시작 부분을 의미하고

> 이 꺽인 닫기는 테그의 끝부분을 의미하는것입니다 

img 는 image이미지의 약자 즉 사진이나 그림을 영어로한 약자이며

src는 무슨약자인 잘 모르겠는데 주소라는 영어의 약자라고 어디서 들은것 같습니다

그러니 이것을 해석하자면

"< " 이부분부터 테그가 시작을 하면서

그림의 주소 는  즉 img(그림) 주소 src

합치면 <img src=  이렇게 되는것입니다 =다음에는 그림주소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테그(명령)가 끝나는 부분이 어디까지라고 표시하기위해 ">"

즉 꺽인 가로 닫기는 이곳까지 입니다라는 표시....

줄여 말하면 주소의 그림을 나타내라고 명령하는 명령어입니다

<img src=인터넷주소>

신기하게 html편지지에서는 이명령을 수행합니다^^*

위와같이 테그(html) 편지지에 글을 쓰고 올리기를 크릭을 하면

그 그림이 짠하고 나타나게 됩니다... ^^*

이때 꼭 주의해야할 부분은 띄어쓰기도 틀리면 안됩니다..

사람은 띄어쓰기를 안했으면 바로 이해를 하겠지만 컴퓨터는 띄어쓰기를 안하면

이해를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음악이나 스위시도 같은 방법을 취하게 됩니다

즉 음악(소리)와 스위시는 img 대신 embed 를 사용하는데

<embed src=음악 주소나 영상 주소>

이렇게 해서 노래나 사진 영상을 올릴수가 있습니다

이것도 해석을 하면 위 주소의 음악이나 영상을 나타내라고 하는 명령어 입니다^^*

--------------------------------------------------

 

그럼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것이 바로 주소입니다

이주소를 어떻게 생성을 하고 또 주소를 알수가 있나?

이것이 관권으로 부각이 되게 되네요^^*

 

인터넷의 주소는 ?

이부분도 이해하기가 좀 어려운 부분인데

그 어떤 공간에 올려 놓는것을 말합니다.. (이것을 컴세계에서는 계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수도 없이 많은 내용을 세계 각국에서 그 공간에 올려 놓으면 같은 주소가 있을수도 있고

올린 내용물을 찾기가 힘이 들겠지요... 

이러한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소가 자꾸 복잡해집니다(같은 주소가 있으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이 주소는 불행히도 한글은 인터넷 상에서는 잘 이해를 못하네요.. 그래서 모두가 영어입니다^^*

 

여기서 다시 팁에 해당하는 간이 설명이 필요할것 같네요^^*

예전에는 노래 영상 사진을 올릴려면 계정이 필요했고 그 계정에 올려야

주소를 생성할수가 있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정을 돈주고 사야하는 상황이 벌어졌었지요..

지금도 개인의 홈페이지를 만들려면 마찬가지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음카페나 포털 싸이트들이 앞다투어 무료로 주소를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 비용은 다른것으로 충당을 하겠지만 어쨌던 좋은 세상이 된것만은

틀림없고 우리가 공짜로 마시는 공기의 귀중함을 모르듯이 주소를

돈안주고 마음대로 만들기에 소중함을 모르고 살고 있습니다^^*

 

그러면 주소를 어떻게 만드는것일까요?

우리들은 다음카페를 이용하니 

다음카페에서의 주소 만드는법을 그리고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을

글로 올려 보겠습니다^^*

 

자세한 글을 올릴려면 한이 없고  카페에 사진을 올릴줄 아신다고 전제하고

글을 올리겠습니다...

사진을 올리면(노래파일도 마찬가지) 올림과 동시에 주소가 생성이 됩니다

그럼 그 사진의 주소를 어떻게 알까요.?

올린 사진(보이는사진)위에 커서를 올려놓고(다른곳에 커서가 올라가면 안됩니다^^*)

우측 마우스 크릭을 하면 작은 팝업창이 뜨는데

그 창에서 제일아래에 보면 속성이라는 글자가 보일것입니다..

그속성을 크릭을 하면

등록정보 창이 아래 그림처럼 나타납니다

아래쪽 그림을 보면 컴퓨터에 따라 속성이라는 글이던지 주소라는 글로

인터넷 주소가 나옵니다

---------------------------------------------------------

(그림)

----------------------------------------------------

위의 그림에서 그림위에 커서를 올려놓고 우측크릭을 하면 팝업창이 뜨고 제일아래에

속성이라는것이 있는데 이것을 크릭하면 다시 등록정보창이 뜹니다

위에 그림 좌측처럼 등록정보라는 팝업창이 뜹니다.

그곳에서 위에 그림처럼 빨간 사각형 안에 있는 주소가 바로 인터넷 주소입니다

위에 주소를 복사를 해서 사용을 하면 되는것입니다..

네?? 어떻게 복사를 하냐구요... 이그... 거기까지 설명할려면 너무 힘이 드네요^^*

 

(복사를 사용하지 않고는 주소를 다 쓰기가 힘이 듭니다^^*)

이것이 컴의 특징이지요... 남이 보면 와~~ 이 어려운 영어단어를 어떻게 외워 쓰나하고

감탄을 하겠지만 컴을 아는 사람은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면 간단합니다

그 내용을 알수가 없지요 물론 영어를 사용하는 영어권의 사람도 모르는 글 자체입니다^^*

 

음악은 사진(그림)과 마찬가지로 반주기 위에 커서를 올려놓고

우측 크릭을 하면 팝업창이 뜨고 그 창에서 가장아래에 속성이라는 글자가 있습니다...

다시 이것을 크릭하면 노래정보가 담겨있는

등록정보창이 뜨는데 그곳에서 주소를 찾을수가 있습니다

 

영상도 마찬가지인데 카페에서는 하도 복사를 해가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복사를 못하게 막은 방법이 있고 또 그것을 푸는방법을 알아내 풀어서 사용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참 복마전이지요^^*

어쨌던 제일 중요한 부분은 바로 주소입니다

주소만 있으면 그 내용물을 언제든지 테그를 사용해서 볼수 들을수가 있습니다

 

아참 그럼 영상이나 노래는 어떻게 올리냐고 문의를 하실분이 있을것 같은데

이것은 아래 그림처럼 사진이나 파일 올리는 곳을 사용해 올립니다

아래 그림은 글쓰기를 하면 나오는 그림입니다^^*

-----------------------------------------

(그림)

--------------------------------------------

위에서 사진이라는 곳을 크릭을 하면 사진올릴수가 있고

파일이라는 곳에는 영상이나 음악파일을 올리는 곳입니다  그사이에 동영상은

동영상을 올릴때 사용하는 곳이지요...

이곳에 올리면 자동으로 인터넷주소가 생기게 되여 있습니다

 

우리는 그 주소만 알아내면 얼마든지 html 편지지에 명령어를 넣어 그것을 인터넷상에서

볼수가 있습니다

 

 

 

 

자 그럼 주소를 이용해서 노래를 올리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에 설명한것 같이

<embed src=음악주소>

위의 글은 음악주소를 나타내라는 명령어입니다

이렇게 하면 노래가 나옵니다 물론 html편지지에 올려야 합니다

우선 내 노래를 올려서  소스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소스(주소)는 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그럼 이것을 합성해서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위와 같이 만들어 올리면 되는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올리면

소리의 크기가 작게 나오고 한번만 노래가 나오고 노래 반주기도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1. 노래의 반복을 원하면 끝부분에 loop=-1  이라는 글자를 넣으면 됩니다  <embed src=소스 loop=-1>

   예)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loop=-1>

   이부분을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loop는 반복을 의미하고 loop=3이라고 쓰면 3회를 노래가 반복한다는것인데

   요즘은 이것도 잘 안통하는게 html 인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loop=-1하면

   이 -1라는것이 무한대를 뜻하는것으로 노래를 켜 놓으면 하루종일도 반복을 합니다

   참 편리하게 만들었는데 이게 모두 영어라는게 흠입니다^^*

2. 노래의 반주가 크게 들리게 할려면 volume=-0  라는 글을 올리면 된다

   <embed src=소스 volume=-0> 여기서 0는 가장 큰것을 말하는것인데 -를 붙이는 이유는

   다음카페에서 이 소스가 먹지 않게 만들어서 -0이라고 씁니다만 지금도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예)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volume=-0>

3. 반주기가 보이지 않게할려면 hidden=true <embed src=소스 hidden=true>

  예)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hidden=true>

4. 여기서 주로 사용하는 테그는 반복하고 소리크게하고 반주기 안보이게하는것

    3가지를 합쳐서 모두 사용하는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3개의 소스를 합치면 됩니다 <embed src=소스 loop=-1 volume=-0 hidden=true>

    위의 글도 해석을 하면 소스주소(음악)를 나타내는데 반복은 무한대 소리의 크기도

    반주기에서 가장 크게 그리고 반주기가 보이지 않게 나타내라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띄어쓰기가 하나라도 틀려서는 안된다는것입니다 물론 글자가 틀리면

    더욱 안되겠지만 말입니다

   예)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loop=-1 volume=-0 hidden=true>

   위의 소스를 복사해서 테그연습장(html)에서 연습을 하면 알수가 있습니다

 

-------------------------------------------------------------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loop=-1 volume=-0 hidden=true>

초보님은 위에것을 찾기 편한곳에 복사를 해서 놓았다가 

노래 주소에 해당하는 위의 녹색바탕에 파란 글씨 부분을 지우고 내 노래 주소를 붙여넣기 하면

다 똑같은데 주소만 바뀌게 됩니다...즉 내노래주소이기 때문에 내노래가 나오게 됩니다

위의 소스는 노래바가 보이지도 않기 때문에 보이게 하고 싶으면 아래 소스를 복사해 놓고

주소만 바꿔치기 하면 됩니다^^*

<embed src=https://t1.daumcdn.net/cfile/blog/274D523754EC352436?original loop=-1 volume=-0>

-------------------------------------------------------

 

Html에 올리는 요령

위의 소스를 복사해서 올렸는데 노래가 나오지 않을때는

편지지가 혹시 html이 아니라 에디터인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편지지 우측상단)

그래도 노래가 나오지 않으면

소스에 띄어쓰기가 제대로 되여 있나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이그

올리기는 올렸는데 참고가 되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이글은 먼저 있던 글에 수정을 해서 올린 부분입니다

혹시 부족한 점이 있으면 꼬리글로 잡아 주시면 성심껏

답글을 올려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