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08년 6월30일 러시아의 중부 시베리아의
퉁구스카(Tunguska)에서 의문의 폭발사건이 일어났다.
이 폭발로 인해 중앙 시베리아의 퉁구스카 숲 2,000㎢(거의 제주도의
크기)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 당시 폭발 사건으로 시베리아 횡단열차가 탈선하였고 65Km 떨어진 바나바라 마을에 있는 건물의
벽이 무너지고 사방에 불길이 솟았다. 또한 600km 떨어진 곳에 서있던 말들이 쓰러질 정도였다. 120㎢ 되는 밀림이 다 탔고, 주위의
3,500㎢의 수목이 사라졌다. 이곳으로부터 수 천킬로미터 떨어진 동부유럽에까지 이 충격의 지진파가 전달되었다.
그러나 이 폭발은
당시 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과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외부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지방 신문들은 "불덩이를 닮은
거대한 천체가 하늘을 가로질렀다"고 썼고,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고 가던 여행자들도 거대한 유성을 하늘에서 보았다고 증언했다.
|
그러나 이 폭발을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은 아직까지 그
원인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퉁구스카 폭발 사건의 원인으로 가장 빈번하게 주장되는 가설 중에는 소행성 폭발설, 외계인에 의한
폭발설, 블랙홀 가설, 혜성 충돌설등이 있다.
첫번째 소행성 폭발설은 지구를 향해 돌진하던 지름 50m 혜성이나 유성, 소행성이
퉁구스카 공중에서 폭발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과학자들의 주장이다. 퉁구스카 지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운석이 포함하고 있는 이리듐 원소가 흙속에서
발견되어 이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으나 퉁구스카의 폭발중심부의 땅에서는 운석도, 분화구도 발견되지 않아 이 거대한 폭발의 원인을 아직까지
미스테리로 만들고 있다. 
두번째 가설인
외계인에 의한 폭발설은 사고 직후 현장을 조사하던 소련의 과학자들의 증언이다. 그것은 폭발 중심부에는 불에 탔지만 쓰러지지 않고 똑바로 선
나무들이 있는 것으로 폭발직후 생긴 거대한 버섯 구름과 퉁구스카의 동식물의 변이 현상, 충격파도 핵폭발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당시
핵폭탄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감안한다면 이 폭발을 일으킬 사람은 외계인들뿐이라는 것이다.
세번째의 가설인 블랙홀 가설은 엄청난
중력으로 주변의 물체를 끌어 당기는 천체로 초소형의 블랙홀이 시베리아 지방을 통과하여 우주로 빠져 나갔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주장이 신빙성을
얻기 위해서는 시베리아 반대편 지역의 아이슬랜드 근처에서도 이 현상이 발견되어야 할 것이지만 어디에서도 이와 같은 폭발의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네번째 가설인 혜성 충돌설은 혜성이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그 마찰로 급격한 증발 현상과 함께 폭발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
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혜성이 지구 가까이에서 폭발하면서 생긴 가스와 먼지가 사방으로 퍼져 구성이나 파편이 남아있지 않는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천문대에서는 그 당시 혜성이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았다.
| 출처:신비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