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о글모음게시판▥/☆ 좋은글 모음

설날

  설날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음력 정월 초 하루를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 한다.

아침에는 가족 및 친척들이 모여들어
정초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두 모여
오붓하게 지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순서를 따져 세배를 올린다.
떡국으로 마련한 세찬(歲饌)을 먹고
어른들은 세주(歲酒)를 마신다.





세찬이 끝난 후에는 차례상에서 물린
여러 명절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飮福)이 마련된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준다.
이웃 및 친인척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이다.





이 날은 윷놀이, 종정도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같은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 김정균(자료수집) -


----------------------------------------------


가족을 찾고, 집안을 돌아보고,
지인을 만나는 이 아름다운 풍속은
우리만의 따뜻한 미덕이 아닐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