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о앗!~이럴수가★/기네스,호기심

세계 도처의 미신 관습과 액운을 떨치는 비방

세계 도처의 미신 관습과 액운을 떨치는 비방





(그림설명: 액운을 막아주는 것을 알려진 미리암의 손 부적 목걸이)

세계 각지에는 문화의 다양성 만큼이나 많은 유형의 미신들이 전해오고 어떤 나라 사람들을 이같은 미신적 관념에 사로 잡혀 사는 경향이 있다.

서로 문화의 뿌리가 다르고 신앙이 다르며 지리적 환경이 다른데서 독특한 미신이 발생한다는데 최근 캐나다 에드몬톤썬지와 미국의 세인트루이스 투데이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미신과 이를 퇴치하는 고대 비법을 소개해 흥미를 끌었다.





(그림설명: 여러나라에 길조로 알려진 공작새)

서양인들 가운데는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운명한 13일의 금요일을 가장 불길한 날로 믿으며 이와는 달리 그리스에서는 화요일을 가장 불길한 날로 믿는다.

중국인들은 죽을 死자와 발음이 같은 4 를 가장 불길한 숫자로 믿고 8 이 행운과 부귀를 주는 숫자로 믿는다. 인도에서는 23 이 행운의 신 가네샤를 연상해 행운을 가져다 주는 숫자이며 코끼리를 보면 행운이 온다고 믿는다.

힌두 문화권에서는 공작을 보면 길조로 여기지만 공작이 날카롭게 우는 소리를 들으면 불길하다고 믿으며 까마귀가 집에서 울면 손님이 방문한다고 믿고 아픈 사람이 있는 방 옆에서 개가 짖으면 사람이 죽을 징조라고 믿는다.

그리스 사람들은 성직자가 길을 걷는 것을 보면 불길한 징조라고 믿어 길을 가다가 성직자를 보면 자신의 옷에 침을 세번 뱉어 액운을 떨친다.

라오스에서는 아기의 태반을 나무에 걸어놓으면 신령들이 이를 먹고 아기가 일생 행복한 삶을 살게 준비해준다고 믿으며 마샬 군도 원주민들은 아기의 탯줄을 바다에 던지면 아기가 커서 훌륭한 어부가 된다고 믿는다.

2002년 발간된 세계적인 경제잡지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의 최고 부호 400명중 43명이 용의 해에 출생했다며 용띠 부자가 가장 많다고 보도했는데 용은 고대로 부터 황제를 상징한 신화적인 권능을 갖은 영물로 믿고 부귀영화를 가져온다고 믿어 지난 2000년 용의 해에 중국인들의 출생률이 드높았다.

지중해 연안 사람들은 신천옹 새들이 배 주변을 돌면 곧 폭풍이 올 전조로 믿고 폴란드에서는 박쥐가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지만 다수 국가들은 박쥐를 불길하다고 믿는다.





(그림설명: 행운의 상징인 코끼리 부적 목걸이)

아이슬란드에서는 겨울에 처음 태어나는 송아지가 흰색이면 겨울 내내 불운할 징조로 믿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한때 개들이 앞일을 미리 볼 수 있고 부엉이 역시 개와 유사한 힘이 있다고 믿어 숭배했다.

영국에서는 수탉이 일몰부터 자정까지 세번 울면 집에서 누군가 죽을 전조라고 믿었고 고대 로마인들은 황새를 비너스 여신으로 상징해 행운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액운을 떨치는데 고대부터 많이 사용해온 비법은 유대교인과 이슬람교도들이 공히 '미리암의 손', '함사의 손', 또는 '하메시의 손'이라고 부르는 손 모양의 마스코트를 몸에 지니는 방법이다.

손바닥에 채색한 눈이 도안된 목걸이나 장신구, 또는 스티커 등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그 눈이 마귀의 눈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해준다고 믿는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눈 주변에 검은 화장을 하는 것이 마귀가 본인의 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고 믿었다.

이태리에서는 '마노 콜누타' 라고 불리우는 '뿔난 손'을 만드는 제스쳐가 마귀로 부터 보호해주고 악령을 떨쳐낸다고 믿는데 락 스타나 정치 지도자들이 이따금 공개석상에서 뿔난 손 제스쳐를 하여 주목과 관심을 끌었다.

유대교 전통에서 미리암의 손 부적이 없을때 마귀의 눈을 떨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손가락 끝에 침을 세번 뱉고 손가락을 허공에 흔든 뒤 소금을 던지고 이디시, 카인 아인호레(마귀 눈은 안된다)' 라고 외치거나 마늘을 많이 먹는 것이다.





(그림설명: 손에 미리암의 손 문신을 한 데이빗 블레인)

우리에게도 옛부터 전해오는 미신적인 믿음들이 많이 있는 것 처럼 오랜 세월 동안 대를 이어 전승되고 지켜지고 있는 세계인들의 미신과 관련된 믿음은 과연 어떤한 효험이 있어서 그토록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