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³о앗!~이럴수가★/기네스,호기심

인류는 방귀 덕분에 살아남았다?! ...

불을 피우지 못하는 종족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 '냄새' 때문이라 주장이 나왔다.

몇 십만년 전 아프리카 케냐의 골짜기에는 사람의 조상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옷은 물론이고 무화과 나뭇잎 하나도 걸치지 않은 채 살았으며, 불은 커녕 돌도 다듬어 쓸 줄 모르는 말 그대로 원시인이었다. 그런데 무슨 수로 힘이 센 사자한테 잡혀 먹히지 않고 살아 남을 수 있었을까. 낮에는 나뭇가지를 흔들어 쫓아버렸다고 해도 동굴 속에서 잠을 자야하는 밤에는 어떻게 무사할 수 있었을까.

학자들은 가시나무가 놓인 길은 피해 돌아가는 맹수의 습성을 이용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다른 가설을 내놓은 학자들도 있다. 동굴 속에 옹기종기 모여 잠자는 사람들을 잡아 먹으러 몰려온 짐승들이 굴 입구에 와서는 킹킹, 킁킁 콧소리를 내면서 발길을 돌렸다는 것이다.

사람은 고등 영장류 중에서 가장 냄새가 많이 난다. 역겨운 땀 냄새는 물론이고 하루에 2백75cc의 방귀를 뀐다. 과일 냄새에 가까운 에스테르 물질과 땀에 섞인 지방산이 분해된 부틸산의 역한 냄새에다, 인돌(indole), 스카톨(skatol), 황화수소(H2S) 등이 혼합된 방귀 냄새가 짐승들을 쫓아냈다는 것이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사람의 몸냄새는 종족 보존에 지대한 역할을 해냈음이 틀림없다. 또 사람의 몸내음이 타 동물에게는 구역질을 나게 만든다는 사실은 몸냄새 자체가 훌륭한 방어용 화학무기임을 보여준다.

방귀로 적의 위험으로 부터 자신을 지키는 동물 중 대표적인 예로는 스컹크가 있다.

스컹크는 위기에 닥치면 방귀를 뀌는데 스컹크가 뿜어내는 이 액은 멀리는 3-4m나 날아간다고 한다. 장난기 많은 학자들은 그 성분을 분석해 사람의 방귀와 비슷한 티올, 에스테르화합물에 탄산, 스코톨, 인돌 성분이 들어 있음을 밝혀냈다. 이 액체가 다른 동물의 눈에 들어가면 일시적으로 눈이 어두워져 공격을 할 수 없게 된다.


지구를 위협하는 가축의 방귀

캥거루의 방귀는 가축과 달리 메탄가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방귀로 살아남았을지 모르는 인류에게 방귀가 새로운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가축의 방귀에는 메탄가스가 포함돼 있다.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지국온난화의 주범. 조사에 따르면 호주에서 배출되는 지구온난화 가스의 15% 가량이 가축이 배출하는 메탄가스다. 반면 가축과 똑같은 풀을 먹고 자라는 캥거루는 메탄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가축들의 위 속에 사는 박테리아는 발효과정을 통해 수소를 메탄으로 바꾼다. 과학자들은 캥거루가 메탄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것은 위 속에 가축과는 다른 박테리아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가축들도 메탄가스를 배출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호주 퀸즈랜드주(州) 과학자들은 캥거루의 위 속에서 약 40종의 박테리아를 분리해내 각각의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수소를 메탄이 아닌 다른 물질로 바꾸는 박테리아를 찾아낸다면 이 박테리아를 가축에 주입함으로써 메탄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