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플래시☆/★ 인터넷 정보

mp3,wma,ogg... 음악파일 변환 프로그램입니다.

 

 


1. 아래주소에 가서 "dBpowerAMP Music Converter"를 다운 받아 설치 한다. 이 파일은 기본적으로 MP3, WAV파일을 변환 할 수 있다.

http://www.dbpoweramp.com/dmc.htm



2. 자 이젠 MP3, WAV 말고 WMA로 변환 하려면 따로 코덱이 필요 하다.

아래 주소를 클릭 하고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 하길 바란다

http://www.dbpoweramp.com/codec-central-windows-media-audio.htm



3. 이제는 OGG코덱을 설치 해보자.

아래 주소를 클릭 하고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설치한다.

http://www.dbpoweramp.com/codec-central-ogg-vorbis.htm



4. 마지막으로 *Flac코덱을 받아보자.

http://www.dbpoweramp.com/codec-central-flac.htm



* Flac 포맷이란...

FLAC도 MP3와 마찬가지로 차지하는 용량을 줄이는 목적의 코텍이지만 압축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MP3는 사운드 파일을 용량을 대폭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원본 음질에 다소 손상을 가하는 방식으로, 현재에 비해 메모리 크기가 작았던 예전으로부터 명성을 쌓기 시작해서 지금은 가장 알려진 사운드 포맷입니다.


그렇지만 현재와 이후의 사용자들이 보유한 메모리 용량과 빠르기는 다소 큰 사운드 파일이라도 충분히 소화할만한 정도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용량보다는 음질에 눈을 돌리지 않을까 하는 예측이 가능합니다. 본 자료 FLAC는 목적파일의 용량은 다소 크지만, 손실없고 효율적인 사운드 압축방식으로 이미 주목되고 있으며 미래의 하드웨어적 보유상황에 어울리는 방식입니다.



이제 탐색기에서 음악 파일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Convert to'라는게 생성 된것을 볼수 있다,

선택후, 파일 포맷에 맞게 쉽게 변환을 할 수 있다.



자 이제 파일을 변환 해보자.



1. 일단 음악 파일을 찾는다. MP3든 WMA든 WAV든 �아서

2. 파일을 선택 후,

3.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Convert To]라는 목록이 보일 것이다. 선택 한다.



# 만약 [Convert To]가 보이지 않는다면,

[시작]-[프로그램]-[dBpoweramp Music Converter]-[Configuration]-[dBpoweramp Configuration]을 선택 한다.

[Music Converter]탭을 선택 하고 아래 사진의 밑줄 그어진 항목을 체크한다.

그리고 OK!







  

자. 그러면 아래 그림 같이 나오게 되는데, [Convert To]를 눌러보자.

그러면 여러가지 파일 형식이 나오게 되는데, 파일 형식은 입맛대로 고르면 된다.








먼저 MP3변환 옵션을 설명 합니다.



1. 가변비트율를 사용할 것인가. 일정한 비트율을 사용 할 것인가 정하는 것이다.

# 가변 비트율(VBR Variable Bit Rate)------------------------------------------------------------------------------------------
VBR은 Variable Bit Rate의 줄임말입니다. 일단 Bit는 컴퓨터 용량을 구성하는 기본 소자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점은 Variable입니다. 동아 프라임 영한사전에서는 이것을 곧잘 변하는, 변화하는 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만큼 파일의 음질이 매순간마다 변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보통 MP3를 사용하시다보면 우측에 128Kbps, 192Kbps(설마이런 고용량은 사용안하실듯)이 있으실 것입니다. 128Kbps는 각각 128 x 1024개의 비트를 사용하며 192Kbps는 192 x 1024비트를 사용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만큼 용량이 커질수록 음질은 좋습니다.  초당 전송량이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VBR는 간단히 말해서 음질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용량도 적고 실속 있습니다. 또한 매순간마다 변화하는 음질을 가진 파일이라 보시면 됩니다

저도 i사 MP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귀가 큰 나머지 귀가 민감해서 음질차이를 많이 느끼고는 합니다. 128Kbps파일과 VBR파일의 음질차이는 청각에 민감하지 못하시더라도 쉽게 느끼실 수 있지요^^ - 네이버 지식검색 인용

----------------------------------------------------------------------------------------------------------

2.  Constand Bit Rate를 선택 했을 때 비트율을 정한다.
이때 비트율이 낮아질수록 용량은 작아지고 대신 음질을 떨어진다.

3. DSP 효과를 설정 한다.
일반적으로 쓸때는 잘 쓰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생략 한다.


이번엔 OGG 변환 옵션입니다.



1.2 위에서 설명 했듯이 비트율을 정하는 옵션이다.

3. frequency-진동수라고 하는데 한마디로 말하면 주파수다.
주파수를 정하는 옵션이다.

4. 채널을 설정 한다. 스테레오로 할건지 모노로 할 건지 정한다.


이번엔 WMA 입니다.



1. WMA는 코덱 종류가 왜이리 많은지... WMA 코덱을 정한다. 아무거나 선택해도 무난하다.
2. 가변 또는 일정 비트율 선택
3. 비트율을 정한다.
4. 주파수를 정한다.
5. 채널을 정한다.(모노, 스테레오)